‘서울형 도시재생 신규지역’ 17개소 최종 선정
‘서울형 도시재생 신규지역’ 17개소 최종 선정
영등포·청량리 등 중심지재생지역 7곳, 수유1·수색동 등 주거지재생지역 10곳
  • 김하수 기자
  • 승인 2017.02.16 11: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시는 1년 간의 준비기간을 거쳐 영등포·경인로 일대 등 2단계 ‘서울형 도시재생지역' 총 17개소를 최종 확정, 16일 발표했다. 중심지재생지역이 7곳, 주거지재생지역은 10곳이다.

서울형 도시재생이란 과거 일률적인 철거 방식의 재개발이 아니라 지역 특성을 최대한 살려 주민들이 직접 공동체를 꾸리고 환경을 정비하는 사업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지난 2015년 1월 도시재생본부를 신설했으며, 이후 ‘2025 도시재생 전략계획’을 수립해 서울역 역세권 일대, 세운상가 일대, 창신·숭인 일대 등 1단계 13개소 지역을 선정했다.

이번에 선정된 17곳은 ‘서울형 도시재생사업’의 2단계 사업지다. 시 관계자는 “‘서울형 도시재생’ 1단계가 쇠퇴한 서울도심을 중심으로 진행된다면, 2단계 사업지는 도심은 물론 동북·서남권 등에 고르게 분포돼 있어 서울형 도시재생을 서울 전 지역으로 본격 확장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선정된 17개소는 중심지재생지역이 7곳, 주거지재생지역 10곳으로 구분된다. 중심지재생지역은 △경제기반형 1개소(최대 500억원 지원) △중심시가지형 6개소(최대 200억원 지원)가 있고, 주거지재생지역은 △근린재생일반형(최대 100억원 지원) 7개소 △주거환경관리사업 연계형(20∼30억원 지원) 3개소 등 4개 유형으로 나뉜다.

경제기반형 1개소는 영등포·경인로 일대(79만㎡)가 선정됐다. 이 지역은 도심, 강남과 함께 3도심의 하나지만, 산업구조 변화 등으로 낙후된 지역으로 서남권의 성장을 견인하기 위한 광역 차원의 새로운 경제거점으로 개발된다.

중심시가지형은 역사·문화적 의미가 있거나 도심 활성화의 잠재력을 지닌 곳으로 6개소가 최종 선정됐다.

6개소는 △중구 정동(대한제국 역사문화자산 재활성화, 60만㎡) △성동구 마장동(마장축산물시장 재생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55만㎡) △용산구 용산전자상가(상가 활성화를 통한 지역경제 살리기, 21만㎡) △금천구 독산우시장(서남권 특화상권 조성 및 문화·관광 자원 개발, 48만㎡) △동대문구 청량리·제기동 일대(역사·시장 관광자원화, 세대 초월 커뮤니티 형성, 49만㎡) △강북구 4.19사거리 일대(자연·역사·문화·공동체 新연계관광중심지, 63만㎡)이다.

주거지재생 10개소는 근린재생 일반형 7개소(후보지 14개소), 주거환경관리사업 연계형 3개소(후보지 5개소)로 구분된다.

근린재생 일반형 7개소는 △수유1동(북한산 인근 최고고도지구 저층주거지) △창3동(창동골목시장 등 골목상권 침체) △불광2동(5개 초·중·고교 밀집지역) △천연·충현동(역사문화자원 도심인접지) △난곡·난향동(경사지 노후주택 밀집지역) △안암동(고려대 캠퍼스타운 연계지역) △묵2동(중랑천 인접지, 장미축제 활성화)이다. 7개소 중 5곳은 뉴타운·재개발 해제지역이다.

주거환경관리사업 연계형 3개소는 △신영동(구릉지 단독주택 중심 저층주거지) △수색동(DMC 인근 뉴타운해제지역) △목2동(마을공동체 활성화지역)이다. 시는 이들 지역을 대상으로 향후 주거환경관리사업 선정을 위한 자문절차를 생략토록 해 원활한 사업추진을 도모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각 지역별로 계획의 완성도와 추진 주체의 역량강화 정도에 따라 오는 3월 계획 수립을 시작으로 사업을 본격화한다는 방침이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지난해에 이어 두 번에 걸친 도시재생지역 30개 선정으로, ‘서울형 도시재생’이 쇠퇴한 도심부 위주에서 서울 전역으로 본격 확대되는 전기가 마련됐다”며 “올해에도 3단계 주거지재생사업을 위한 준비단계로써 주민공모사업으로 20개 희망지사업을 선정해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Tag
#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