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우징헤럴드=최진 기자] 추정 분담금 여파로 리모델링 업계가 멘붕에 빠지면서 일부 전문가들은 리모델링 징검다리론을 주장하고 있다. 리모델링을 한번 거친 후 준공 40년차부터 재건축을 추진하자는 것이다.
성급하게 재건축을 추진하면서 낡은 아파트에서 10년 이상을 거주하는 것보다 깔끔하게 리모델링으로 주거만족도를 높이면서 준공 40년차 노후도를 활용해 향후 수월하게 재건축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최근 서울시 규제완화 정책이나 국회의 노후계획도시 특별법의 경우 기존 재건축사업을 더욱 활성화하는 것에 방점이 찍혀있다. 대부분 용적률 150~200% 사이의 단지들을 위한 사업성 검토 및 인센티브 등의 기준이 마련되고 있는데, 점차 용적률 조건이 상승한다면 향후 200~250% 사이의 단지들도 정부정책이나 특별법 지원의 타깃이 된다는 것이다.
리모델링에서 발생한 분담금은 주택가격 상승과 더불어 향후, 재건축 예정물건으로서의 프리미엄이 더해진다는 분석이다. 앞서 용적률 100% 이하의 저층단지들이 높은 재건축 프리미엄을 형성했듯, 기존 재건축 단지들은 향후 최대 330%에 이르는 고밀단지가 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현행 리모델링 단지들의 차별화된 재건축 경쟁력을 지닐것이라는 기대다.
또 분당·산본·수원 등 리모델링 단지들은 역세권 입지의 비중이 높기 때문에 역세권 사업지원과 관련한 인센티브 정책만으로도 수월하게 사업성 문제를 풀어낼 수 있다는 견해도 있다. 또 정비사업은 자신의 대지지분을 쪼개 일반분양 물량을 판매한다는 측면에서 향후 재건축보다는 대지지분이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된 리모델링이 더 놓은 사업성을 지닐 수 있다.
정비업계 관계자는 “두 곳의 노후단지가 각각 재건축과 리모델링을 추진했다면 향후 정비사업 추진여력은 리모델링을 한 단지가 재건축단지에 비해 월등히 높다”라며 “재건축을 위해 10년 이상을 구축에서 힘들게 버티는 것보다는 차라리 리모델링을 한번 거치고 쾌적하게 거주하다가 재건축에 나서는 것도 괜찮은 선택”이라고 말했다.
이어 “리모델링 단지의 경우 준공연한이 40년을 초과하게 되면 주거환경이 만족스럽더라도 구조안전성에서 재건축을 추진할 조건이 수월하기 때문에 어느 아파트들보다도 재건축 경쟁력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며 “당초 리모델링 사업연한이 15년, 재건축이 30년인 이유도 이러한 정책설계가 반영된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