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정비사업 침체 우려 ‘비상’… 부산만 반짝 호황
지방 정비사업 침체 우려 ‘비상’… 부산만 반짝 호황
  • 박일규 기자
  • 승인 2016.10.26 14: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제구 일반분양 경쟁률 241대 1로 사상 최고 
대구는 수성구 제외하고 잠잠 … 광주도 ‘빨간불’

지방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이 전체적으로 난항을 겪고 있다. 올해 말까지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에서만 16개 재건축·재개발 단지 총 1만2천269가구 규모가 분양을 준비하고 있다. 작년 같은 기간 공급량(9천579가구)보다 28% 가량 증가한 수치다.

하지만 이런 호재적인 수치에도 불구하고 업체들의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은 눈에 띄는 특정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정비사업들은 하향세를 달리고 있고 그에 따라 조합 내부 갈등 역시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부산은 호황…연제구 최고 경쟁률 241대 1=부산은 5개 단지 4천309가구가 일반분양에 돌입하는 등 부산 정비사업은 현재 호황기를 누리고 있다. 해운대구, 연제구, 동래구, 남구가 강세로 다른 지역구 보다 높은 청약 경쟁률을 기록함은 물론 올해 1~9월까지 부산에서 사용된 1순위 청약통장의 85.8%가 이들 4구로 향했다.

청약 통장이 몰린 만큼 이들 4구의 청약 경쟁률도 치열했다. 평균 청약 경쟁률은 184대 1로 부산 평균 경쟁률인 116.9대 1을 훨씬 웃돌았다. 특히 연제구 241대 1, 해운대구 205대 1 등 기록적인 경쟁률을 보였다.

하지만 분양 준비가 끝나지 못한 정비사업장들의 사정은 그리 녹록치만은 않다. 해운대구라는 최고의 입지를 기반으로 높은 사업성을 자랑하는 부산의 대형 재개발구역 우동3구역은 대형 시공사 대우건설, 롯데건설, 현대산업개발, GS건설 등이 눈독을 들였지만 3회 유찰됐다.

한 정비업체 관계자는“우동3구역, 수영구 남천 삼익비치, 진구 양전3구역 등이 현재까지 남은 수주 물량이지만 시공사들끼리 물밑작업을 펼치느라 사업진행이 더뎌지고 있다”며 “내년 정부 정책이 어떻게 달라질지 모르는 상황이라 주목만 하고 있는 상태에 있다”고 덧붙였다.

▲대구, 수성구 외 전 지역 ‘잠잠’=대구는 수성구 일대 3개 단지에서 1천713가구가 분양을 준비 중이다. 하지만 그 외 지역 정비사업은 불황을 면치 못하는 상황이다.

업체 관계자는 "뚜렷한 사업촉진 호재가 나타나지 않은 가운데 사업이 장기화되는 모양세"라고 말했다. 이처럼 재개발·재건축이 장기화됨에 따라 건설사들의 수주 추진 역시 주춤하고 있다.

수성구의 편식 현상은 명문학군 때문이란 분석이다. 경신고, 경북고, 대륜고, 대구여고, 정화여고 등 선호도 높은 명문 학군이 수성구에 있기 때문이다. 정비사업 뿐만 아니라 모든 분양사업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은 명문학군이다.

건설업체 관계자는 “대구지역의 사업성은 명문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평가 된다”며 “명문 고등학교가 밀집한 도심 쪽 분양에만 몰릴 뿐 타 구역은 사업이 장기화 되고 있다”고 말했다. 타 건설사 관계자도 “수성구 이외에는 수주 검토를 해보지 않았고 계획도 없다”고 했다.

▲광주 정비사업 침체 상황 ‘빨간불’=광주는 정비사업에 가장 난항을 겪고 있는 지역으로 손꼽힌다. 광주에서 재개발 사업이 가장 활발한 곳은 광주 동구로 계림동과 학동이며 16개 지구에서 정비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착공했거나 조합설립 이후 사업인가를 받은 곳은 8곳에 지나지 않는다. 계림2구역은 조합장 자격 여부로 민원이 제기된 상태며, 계림4구역 역시 기존 조합장이 구속되면서 시공자와의 계약도 효력이 정지된 상태다. 학동4구역도 최근 조합장을 선출하고 사업시행인가를 신청할 예정이지만 고소·고발이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계림3구역과 동명1구역은 내부 구성원 갈등으로 조합해산을 위해 시에 청원서를 제출하기도 했다.

또한 지난해부터 설립인가 붐을 이룬 북구도 5개 구역만 착공했을 뿐 나머지 12개 구역은 사업시행인가단계에서 멈춰있거나 아직 인가신청조차 못한 상태다. 북구지역 최대 재건축사업으로 주목받은 운암3단지도 단지 내 학교용지 문제로 시 교육청과 갈등 중이다.

6천200가구로 단일 재개발 사업지구 중 가장 큰 서구 광천동 역시 조합 내부 분쟁이 계속되고 있다. 조합설립인가 무효확인소송이 제기되면서 조합원간 법적 소송으로 사업추진이 지지부진한 상태다.

건설업체 관계자는 “광주 재개발·재건축 아파트 분양가가 단기간에 20~30% 정도 급등하다보니 상대적으로 신규 수요가 부족해지면서 조합에까지 그 영향이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그로인해 조합 내부의 갈등이 심화된 것”이라고 밝혔다.

▲대전도 전체적으로 ‘약세’=대전은 분양을 앞둔 유성구 도룡동1구역과 서구 관저동 관저4지구를 제외하곤 약세라는 것이 업계의 분석이다. 대전은 현재 관리처분인가를 받은 곳이 탄방·용운·복수·도룡동1 4곳이며, 은행1, 용두동2, 목동3, 법동1구역이 사업시행인가를 받았다. 또한 추진위가 구성된 곳이 17곳, 조합설립 인가를 받은 곳은 20곳이다.

하지만 정작 정비사업은 난항을 겪고 있다. 이유는 크게 2가지로 나누어진다. 첫번째 이유는 실수요자뿐만 아니라 투자자들의 수요까지 세종시로 몰렸다는 것이 업계 설명이다.

세종시는 올 들어 전국 2위의 청약률을 보였으며 통계청 ‘시·도간 인구이동 자료’에 의하면 세종시로 가장 많은 인구를 전출시킨 도시는 대전이었다. 대전에서 세종으로 순이동한 인구는 2012년 1월 561명을 시작으로 지난 8월까지 5만1천48명에 달했다. 세종시 전체 전입인구의 37.9%에 해당한다.

두 번째 이유는 사업시행 건설사 및 조합과 토지소유 주민 간 보상협의 마찰 때문이다. 2천400여가구 대규모 아파트 건설을 앞두고 있는 대덕 신탄진 도시개발사업에서 시공자가 일부 토지소유 주민 간 보상협의 절차를 마무리 짓지 못하면서, 건축승인 및 착공·아파트 공급 시점이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는데, 조합원들의 불안감으로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정비업계 관계자는 “신탄진 도시개발사업의 분위기가 현재 대전 정비사업 현장들에 악영향을 미치게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Tag
#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