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4건) 리스트형 웹진형 타일형 20여년 박탈돼 온 층간소음에 대한 입주민 권리 20여년 박탈돼 온 층간소음에 대한 입주민 권리 [하우징헤럴드] LH공사의 층간소음 대책은 2019년 감사원 결과만 보더라도 민간건설사 보다는 매우 양호한 편이다. 자체적인 층간소음 연구조직이 있고 나름대로 사전에 견본 세대를 지어 층간소음 측정을 해 성능기준에 만족할 경우 본 시공을 하도록 하고 있고, EPS 완충재 가격도 대형건설사 대부분 ㎡당 3천~3천500원인데 비해 ㎡당 8천원 이상의 단가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결국 감사원 결과와 가격을 기준으로 하면 강남의 아파트보다 임대주택이 층간소음 방지에서는 더 났다고 볼 수 있다. LH는 공공기관임에도 국정감사에서 바닥충격음(층 층간소음 해법찾기 | 장귀경 자문위원 / 층간소음피해자모임 | 2021-01-07 10:59 경량충격음·중량충격음의 특성과 영향 경량충격음·중량충격음의 특성과 영향 1. 바닥충격음의 정의[하우징헤럴드] 바닥충격음은 충격음의 충격특성, 지속시간 등에 따라 중량충격음과 경량충격음으로 구분하며, 그 각각의 특성과 영향요인들은 다음과 같다.1) 중량충격음중량충격음은 인간의 보행, 어린이들의 뜀 등에 의해 발생하는 무겁고 지속시간이 긴 충격음으로서 낮은 주파수 성분이 많다. 바닥표면 마감재의 유연성에는 거의 관계가 없으며 구조체의 강성, 슬래브 두께 및 면적, 슬래브의 고정 조건 등에 영향을 받는다.2) 경량충격음실내에서 숟가락 등의 가벼운 물건을 떨어뜨릴 때나 의자나 책상 등의 가구를 끌 때에 발생하 층간소음 해법찾기 | 장귀경 자문위원 / 층간소음피해자모임 | 2020-12-02 10:38 아파트 층간소음의 갈등원인 '저주파' 아파트 층간소음의 갈등원인 '저주파' [하우징헤럴드] 층간소음 때문에 경련을 일으키기도 하고, 심한 스트레스로 두려움을 느끼기도 한다. 충간소음의 문제는 이 뿐만이 아니다. 이웃 간에 원수가 되기도 하고, 말다툼이 일어나서 결국에는 폭력을 부르는 화근이 되기도 한다. 어떤 임산부는 층간소음 때문에 유산의 아픔을 겪기도 했다. 그렇다면 여기에 한 가지 의문점이 있다. 충간소음도 소리의 한 부류라면 왜 아파트의 옆집에서 들리는 소음은 별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데, 위 아래층 간의 소음 문제는 왜 그렇게 심각한 것일까? 그것은 바로 층간소음이 50Hz 이하의 저주파로 이루어져 층간소음 해법찾기 | 장귀경 자문위원 / 층간소음피해자모임 | 2020-11-05 10:58 층간소음 문제 연재를 시작하며 층간소음 문제 연재를 시작하며 [하우징헤럴드] 우리나라 건축 기술력은 세계 최고를 다투는데 아파트 층간소음 갈등의 원인이 되고 있는 중량충격음 문제만은 법적 최소기준 50db에도 못 미친다. 층간소음에서 경량충격음은 고주파 대역, 중량충격음은 저주파 대역인데 민원의 70%는 중량충격음 때문에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기술적으로 해소시켜야할 부분은 바로 중량충격음이다. 아파트 바닥의 슬래브 두께를 180mm에서 210mm로 보강하는 것도 중량충격음 저감을 위한 것인데, 이렇게 슬래브 30mm를 보강해도 겨우 1db을 경감시키는데 불과하다. 이렇듯 기술적으로 어려운 층간소음 해법찾기 | 장귀경 자문위원 / 층간소음피해자모임 | 2020-10-06 11:13 처음처음1끝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