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주협, 재개발·재건축 임직원 설문분석
한주협, 재개발·재건축 임직원 설문분석
  • 최영록 기자
  • 승인 2007.11.21 03: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07-11-21 10:46 입력
  
CEO급 책임에 급여는 ‘쥐꼬리’… 개선 시급
“추진위·조합 월운영비 500만~1천만원” 45% 응답
임기 만료 이후 관련 직종 종사할 ‘생각없다’ 53%
 

 
대부분의 재건축·재개발 추진위 및 조합에 상근하고 있는 임직원들이 실제 업무에 비해 급여가 적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먼저 ‘귀하의 급여는 얼마인가’라는 질문에 추진위원장(56명 중 53명 응답)인 경우 △150만원 미만 19명(35.9%) △150만~200만원 미만 19명(35.9%) △200만~250만원 미만 11명(20.8%) △250만~300만원 미만 1명(1.9%) △400만원 이상 2명(3.8%) 등으로 응답했다. 또 조합장(23명 중 22명 응답)은 △150만~200만원 미만 5명(22.7%) △200만~250만원 미만 12명(54.6%) △250만~300만원 미만 5명(22.7%) 등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추진위 임원(36명) 중 15명(48.3%)이 월 150만원 미만을, 조합 임원(18명) 중 7명(38.8%)이 월 150만~200만원 미만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보수로 일하는 추진위 임원 및 조합 임원도 4명이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조합 임원들의 현 급여수준은 월 생활비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월 생활비(교육비 포함)는 얼마입니까’라는 질문에 추진위원장의 경우 △월 200만~250만원 미만(50%) △월 150만~200만원 미만(33.3%) △월 100만~150만원 미만(7.4%) △월 100만원 미만(1.9%) 순으로 나타났으며, 월 300만원 이상 지출되는 추진위원장도 7.4%의 비율을 보였다.
 
조합장은 △200만~250만원 미만(43.5%) △300만원 이상(21.7%) △월 150만~200만원 미만(17.4%), 월 100만원 미만(17.4%) 순이었다. 결국 현재 받고 있는 급여로는 생계를 유지하기 어려운 실정인 것이다.
 
또 ‘업무 및 책임수준 대비 현재 급여수준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70명의 추진위원장과 조합장들은 ‘매우 부족하다(26명·32.9%)’ 또는 ‘부족한 편이다(44명·56.7%)’고 응답했으며 △적정하다(7명·8.9%) △조금 많다(2명·2.5%)의 응답은 미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주요 소득원은 무엇입니까’라는 질문에는 추진위원장(15명·27.3%)과 조합장(12명·52.2%) 대부분이 ‘본인 급여’라고 답했다.
 
이들은 대부분 고등학생(11명·31.4%)이나 대학생(13명·37.1%)인 자녀를 두고 있어 월 생활비 중 교육비가 많이 지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월 교육비로 300만원(2명·8%)이 지출되는 추진위원장도 있었으며, 생활비는 최고 500만원(4명·7.4%)을 지출하는 추진위원장도 있었다. 또 총무이사, 사무장 등도 추진위원장 및 조합장과 비슷한 수치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생활비 대비 현재 급여수준은 어떤가’라는 질문에 추진위원장과 조합장은 ‘매우 부족하다(24명·30.4%)’ 또는 ‘부족한 편이다(47명·59.5%)’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귀하의 변동된 급여는 작년 대비 얼마입니까’라는 질문에 전체 추진위원장 및 조합장 중 73.4%가 ‘동결’이라고 응답했다.
 
이밖에 추진위원장 및 조합장, 상근임직원들의 근무시간은 대부분 10시간 미만인 것으로 조사됐다.
 
‘귀하의 1일 평균 근무시간은 어떻습니까’라는 질문에 8시간~10시간 미만(48명·60.8%)이라고 응답한 추진위원장 및 조합장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그 뒤를 이어 △10시간~12시간 미만(9명·11.3%) △6시간~8시간 미만(20명·2.5%) 순이었다. 

--------------------------------

 
“표준품셈 급여기준 마련해야”
 
■ 대안은 뭔가
 
추진위원장 및 조합장들은 다른 협력업체들처럼 자신들의 적정한 급여를 책정하기 위한 표준품셈이 필요하다는 데 동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현재 받는 급여보다 더 많은 급여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협력업체 표준품셈과 같은 주택정비사업 조합장, 추진위원장들의 급여기준에 대한 귀하의 생각은’이란 질문에 82.1%가 필요하다고 답했고, △반드시 필요하다(53.9%) △필요하다(28.2%) △보통이다(9%) 순으로 나타났다. 또 ‘현재 직책의 임기가 만료된 이후 경험을 살려 관련 직종에 종사할 생각이 있습니까’라는 질문에는 △생각없다(26.9%) △전혀 생각없다(25.6%) △보통이다(24.4%) 순이었다.
 
이밖에 ‘귀하는 조합장, 추진위원장 등의 경력사항을 증명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관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까’라는 질문에 79.5%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한주협 최태수 사무국장은 “설문조사 결과와 같이 대부분 상근 임직원들의 월 급여는 생계비 수준에도 미치지 않는 상황”이라며 “급여를 올리자니 토지등소유자들이나 조합원들의 반발이 예상되고 또 현 상태를 유지하자니 생계유지도 되지 않는 실정이어서 딜레마에 빠져 있다”고 말했다.
 
이어 “차라리 표준품셈을 정해 조합을 대표하고 있는 그들에게 충분한 급여를 지급해 주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지방에서 재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한 조합장은 “급여를 올리더라도 비리를 저지르는 건 어차피 똑같은 것 아니냐는 게 조합원들의 생각인 것 같다”며 “급여를 단돈 1원 조차 올리는 게 쉽지 않은 게 현실”이라고 속내를 털어놨다. 

-----------------------------


“조합운영비 시공자 통해 조달” 50.65%
 
■ 운영 어떻게…
 
추진위 및 조합들의 과반수이상이 이미 선정해 놓은 시공자를 통해 월 운영비를 조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연 예산은 대부분 10억원 미만으로 책정해 추진위 및 조합의 살림을 꾸려나가고 있는 반면 100억원 이상의 예산을 책정하고 있는 추진위 및 조합도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귀 조합 또는 추진위원회에서 월 운영비를 조달하는 방안은 무엇입니까’라는 질문에 50.7%의 위원장 및 조합장이 시공자로부터 받은 대여금을 월 운영비로 조달하고 있다고 응답했으며, 정비사업전문관리업자로부터 받는 대여금으로 조달(46.8%)하고 있다는 응답이 그 뒤를 잇고 있다.
 
또 ‘귀하가 관리하는 조합(추진위)의 1년 예산은 얼마입니까’라는 질문에 대부분이 10억원 미만(94.8%)이라고 응답했다. 또 연 50억~100억원 미만, 연 100억~300억원 미만이라고 응답한 추진위원장 및 조합장은 총 4명인데 이 중 3명은 조합장이며 나머지 1명은 추진위원장인 것으로 나타났다. 

-----------------------------

 
정비사업 추진위·조합 상근임직원 대상 설문
 
■ 조사 어떻게…
 
한국주택정비사업조합협회가 KRBID(한국재건축재개발정보원)에 의뢰해 전국의 재건축·재개발 등 정비사업 추진위원회 및 조합에 상근하고 있는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총 151명이 응답했다.
 
주택정비사업 추진위 및 조합 관계자들의 업무환경 개선 등 ‘합리적인 급여기준 마련’을 위해 실시된 이번 설문조사는 지난달 19일부터 이달 9일 총 22일간 이메일과 팩시밀리를 이용해 진행됐다.
 
설문문항은 기타의견을 포함해 총 26문항으로 △일반현황에 관한 문항 4개 △업무 및 소득수준에 관한 문항 6개 △생계비에 관한 문항 9개 △급여기준 지표에 관한 문항 6개 등으로 구성됐다.
 
응답자 중 대표자(추진위원장·조합장)는 85명이, 중간임원(감사·총무이사·사무장 등)은 54명이, 사원(사무원·경리 등)은 12명이 참여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60명(46.8%) △충청권 19명(14.8%) △경상권 40명(31.2%) △전라권 8명(6.2%) △강원권 1명(0.7%) △미표기 23명 등이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