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재개발 구릉지에 테라스·탑상·판상형 주택 짓는다
서울 재개발 구릉지에 테라스·탑상·판상형 주택 짓는다
  • 하우징헤럴드
  • 승인 2009.03.31 15: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 재개발 구릉지에 테라스·탑상·판상형 주택 짓는다
 
  
기존 성냥갑 아파트 가능한한 지양
지역 특성에 맞는 역사·문화 살려
 
 

 
 
앞으로 서울 구릉지에 들어서는 아파트의 주거유형이 다양해질 전망이다. 서울시는 지난달 구릉지를 재개발할 때 획일적인 성냥갑 아파트 건설을 지양하고 지역 특성에 맞도록 여러 형태의 주택을 건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울시 관계자는 “기존 구릉지 재개발은 비탈진 경사지를 평지로 깎아 획일적인 성냥갑 아파트를 짓는 형태로 진행돼 왔다”며 “무리한 지형 허물기를 지양하고 지역 특성에 맞도록 주거유형을 다양화 하겠다”고 설명했다. 즉 구릉지의 역사, 문화, 자연적인 경관의 아름다움을 최대한 살리겠다는 것이다. 그동안 구릉지 재개발은 경사지를 평지로 깎아 과도한 터파기가 이뤄졌던 것이 사실이다. 뿐만 아니라 흙 무너짐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한 옹벽이 보기에 흉물스럽고 위협적인 측면도 있었다. 서울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 지형 특성에 맞는 주택모델을 창출하기 위해 구릉지 재개발 방침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특별경관 관리설계자 운영=서울시는 구릉지 재개발 시 다양한 주거유형을 창출하기 위해 전국 최초로 특별경관 관리설계자 풀을 운영해 정비사업의 주체인 자치구가 이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설계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구릉지에 맞는 특성과 경관을 살린 주택 모델을 창출하겠다는 것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시에서는 구릉지를 일반 정비사업과 달리 주변과 연계한 경관 관리가 필요한 특별 지역으로 보고 작년에 두 차례의 공개모집을 통해 명망 있는 우수 건축가들을 특별경관 관리설계자로 선정했다”며 “구릉지에 적합한 주택재개발 정비모델 개발에 부단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고 설명했다.
 
김효수 서울시 주택국장은 “향후 서울시 재개발 사업은 아파트 위주의 획일적 계획에서 지역 특성과 어울림을 중시하는 다양한 주거유형을 만들어 나가는 방향으로 추진될 것”이라며 “주민들이 원하는 사업성을 확보하면서도 역사·문화·자연 경관을 보전하는 정비계획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밖에 서울시는 구릉지 뿐 아니라 역사·문화유적 주변 지역의 주거지 정비방안을 등을 수립할 경우에도 특별경관 관리설계자를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또 각 자치구에도 지속적인 활용을 권장해 나갈 방침이다.
 
▲홍은13·14구역, 모범모델=서울시는 구릉지 재개발 경관관리의 모범구역으로 홍은13·14구역을 선정하고 설계를 완료했다. 홍은13·14구역은 기존의 성냥갑 아파트 일색에서 벗어나 테라스형, 탑상형, 판상형 주택을 적절히 조화시켜 설계했다. 리듬감 있는 건축계획을 만들어 다양한 주거유형을 실현한 것이다.
 
아울러 주변 지역에 순응하는 단지 계획과 인근 경관과 어울리는 건축배치를 통해 통경축도 확보했다.
 
홍은13·14구역은 서·북·동쪽으로는 북한산을, 남쪽으로 홍제천을 주변에 두고 있으며 주변 일대가 재개발·재건축 사업을 추진 중인 서울시 구릉지 지역이다. 따라서 주변 구역과의 고려, 구릉지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한 구역으로 당초 계획안은 구릉지의 특성을 살리지 못해 특별경관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서울시는 판단하고 있다.
 
서울시에 따르면 홍은 13구역은 서쪽에 북한산의 일부가 위치해 동쪽과 약 45m의 고저차가 있다. 이에 따라 동쪽 도로에서 서쪽 북한산으로의 시각적 통로가 중요한 계획 요소였다. 하지만 당초 계획안은 평균 16층, 최고 20층 등 과도한 층수로 이뤄졌다. 또 45m 이상의 고저차를 4개의 단차로 계획해 12m 이상의 옹벽이 단지 내부에서 발생하는 폐단이 있었다.
 

홍은13·14구역의 특별경관 관리설계자인 시건축의 류재은 건축사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주요 조망축인 북한산으로 통경축을 확보하며 동쪽에서 서쪽으로 10개의 단차를 둬 구릉지의 옹벽설치를 최소화 했다. 부득이 생기는 단차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테라스 하우스를 계획하거나 주민공동시설 등의 부대시설을 설치했다.
 

홍은14구역은 구역 서쪽으로 고층의 아파트 및 재건축 예정구역이 접해 있다. 홍은 중앙길과 접해 남북으로 긴 구역으로 폭이 좁은 서쪽과 동쪽의 고저차가 약 26m 발생해 구릉지에 대한 고려가 절실히 필요한 곳이다.
 

이에 따라 특별경관 관리설계시에는 단지의 배치를 4개의 단차를 두고 비상차량의 동선을 단지내부(필로티)로 끌어들여 서쪽 도로에 생길 수 있는 과도한 옹벽을 계단식 조경으로 계획했다. 이밖에 동쪽 옹벽 발생부분에는 연도변으로 테라스하우스를 계획해 보행자의 눈높이에서 경관을 고려했다.
 

건축유형은 타워형인 고층 주동의 층수를 주도로변으로 변화있게 계획해 고층부의 발코니 설치를 다양화하는 한편, 불필요한 파라펫(외벽이 수직 방향으로 끝나는 곳) 장식을 지양하면서 입면의 변화를 유도한 것이 특징이다.  
 

-------------------------------

정릉3동 일대 구릉지 재개발
용적률 150%·1,300세대 신축
 

■ 눈길끈 사업장
모범 사업지인 홍은13·14구역 외에 주목할 만한 구릉지 재개발 구역으로는 정릉3동 일대를 꼽을 수 있다.
 

일명 정릉골 주택재개발사업이라고 불리며 지난달 27일 국민대학교에서 지구단위계획 및 정비계획 수립을 위한 주민설명회가 개최되는 등 사업 진행이 활발히 추진되는 구역이다.
 
성북구 정릉3동 757번지 일대 30만7천633㎡에 위치해 있는 이 곳은 평균 4층(최고 5층), 용적률 150%, 건폐율 60%를 적용해 1천300여 세대가 건립될 예정이다. 이곳은 제1종일반주거지역, 자연녹지지역, 자연경관지구 등이 혼재돼 있으며 구역면적의 10% 이상을 기부채납하고 도시기반시설을 해도 용적률 완화를 적용받을 수 없다.
 
주거동은 비교적 급경사지 비율이 높은 점을 극복하기 위해 능선 일부를 절토해 가용 부지를 확보할 계획이다. 또 기존 풍경 실루엣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에서 저층 주거동을 계획하고 능선과 함께 어우러져 왔던 기존의 시경관을 보호해 필로티 계획 및 통경관 축을 연결할 계획이다.
 
이밖에 기존 건물이 앉은 방향과 등고선 대응 방법을 반영하는 등 지형에 순응하는 주거동을 배치하고 북·남사면을 고려한 주거동 건립을 계획하고 있다. 이밖에 남향을 기준으로 남동·남서향을 주방위로 배치계획을 짜고 구릉지에 적합한 계단식 주거동을 건립할 예정이다.
 
이러한 측면을 종합해 정릉3동 일대는 △북한산 선경의 연속 △친환경적, 생태적 도시 만들기 △풍경이 되는 주택 건립 △옛 마을의 역사와 흔적을 새로운 마을에 새롭게 연대하기 △다양한 주민을 위한 다양한 주거유형 △자연에 순응한 배치계획 △도심 속 자연 △길과 공공영역의 연계 △원주민의 재정착율을 높이는 배치 평면계획 △두터운 사회 등 10개의 기본원칙을 설정했다.
 
한편 정릉3동 일대는 연령, 소득, 계층 간의 혼합배치를 유도해 이른바 소셜믹스가 되도록 했다. 이를 위해 외국인, 비즈니스맨, 대학생, 이주민, 예술가와 같은 특정인의 거주공간을 계획하도록 고려했으며 융통성 있는 단위 공간을 창출토록 계획했다. 스튜디오형 주거배치를 통해 인접해 있는 지역인의 거주욕구 또한 해소시킬 수 있게 했다.
 
정릉3동 일대 특별경관 관리설계자인 조성룡 건축사는 “북한산 산경과 연속된 경관을 회복하기 위해 단지 내 녹지축을 연결하는 계획을 수립했다”며 “지형의 훼손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존 진·출입 및 도로선형을 이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구역 내 형성된 다양한 길을 보존해 계획안의 주요 동선체제로 이용하겠다”며 “지역 주민의 커뮤니티 공간을 확보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종로 이화·성북2구역도 계획수립
 

서울시는 구릉지 재개발 대상 구역으로 서대문구 홍은13·14구역과 성북구 정릉3동 외 종로구 이화동, 경복궁 서측, 성북2구역 등을 선정했다.
 

종로구 이화동 9번지 일대는 1만5천278㎡의 구역면적에 지상 3~5층 181세대가 건립될 예정이다. 낙산공원 및 서울성곽 등 주변 경관과 조화로운 주택재개발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특별경관 관리설계자를 활용해 계획을 수립했다.
 
경복궁 서측은 현재 지구단위계획을 수립중이다. 종로구 체부동, 누하동, 필운동, 옥인동 일대 9만6천㎡에 위치하고 있으며 한옥을 보존하면서 주거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중이다.
 
성북2구역은 성북동 226-103번지 일대 5만6천101㎡에 위치해 있다. 서울성곽 등 문화재가 위치하고 있어 10년 이상 사업 추진이 진행되지 못하고 있는 곳으로 특별경관 관리설계를 통해 새로운 한옥 주택지 및 구릉지 순응형 주택으로 정비할 예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