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의원의 국토이야기>‘공업화 전진기지’ 울산·포항
<김의원의 국토이야기>‘공업화 전진기지’ 울산·포항
  • 하우징헤럴드
  • 승인 2006.12.13 05: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06-12-13 12:37 입력
  
 
김의원
경원대학교 명예교수
 
울산은 역사상 우리 손으로 건설한 최초의 공업도시이다. 5·l6이후 조국 근대화의 상징적 사업으로 추진된 울산공업단지의 건설은 모든 면에서 우리 기술능력에 대한 시험무대였다.
 
그렇다면 울산이 무슨 연유에서 조국 근대화를 표방한 제1차 경제개발계획의 핵심인 특정공업단지로 개발되었을까.
 
현재까지는 이에 관하여 자세히 기록된 자료는 없다. 다만 울산이 특정공업단지로 지정 받기까지 있었던 과거의 사실을 몇 가지 종합하여 그 이유를 추리할 수밖에 없다.
 
울산은 일제시대에 한반도 관문으로써 부산과 함께 비교 검토된바 있고, 일본의 이와쿠니(岩國)와 울산을 연결하는 항공로도 있었으며 일본 와세다대학 도시계획과 교수인 이시카와가 울산에 관한 도시계획을 수립했다는 기록도 있다.
 
이것은 당시 조선축항주식회사의 의뢰에 의한 것으로 짐작된다. 왜냐하면 조선축항주식회사는 1944년 이전에 이미 울산에 인구 50만명의 공업도시 건설을 위한 축항계획을 수립한 바 있다. 또 1944년에는 원산에 있던 정유공장(조선석유)을 울산의 15만평 부지에 이설하였다. 게다가 같은 해 조선총독부의 무라카미 기사는 이지역에 대한 공업용수 조사를 실시하기도 했던 것이다.
 
어쨌든 울산은 해방 이전부터 지리적 위치나 항만의 조건, 광활한 배후지 등 공업단지의 입지조건으로써 손색이 없다는 판단이 나 있었다.
 
한편, 해방후 1954년에는 삼양사가 착공되었고 1955년에는 삼양사 제당공장이 준공되었다. 1950년대 후반에는 대한조선에서 정유공장을, 삼성에서 비료공장을 구상한 일도 있었다.
 
5·16혁명후 당시의 정책결정자들의 대부분이 군 출신들이었다는 사실이 울산을 특정공업단지로 지정한 중요한 요인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당시 유력한 인사의 한사람은 울산출신이었으며 정책입안 과정에서 6·25의 경험을 살려 국가안보상 가장 안전한 위치로써 울산을 지목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5·16직후 이른바 부정축재자로 지목된 기업가들이 재산헌납과 함께 경제인협회(지금의 전국경제인연합회)의 이름으로 공업단지 후보지로 울산을 선정해 줄 것을 건의한 사실도 있다.
 
이상과 같은 배경으로 특정공업지구로 설정된 울산 개발의 당초 목표는 계획인구가 15만명이었다. 이 계획에는 국가기간산업인 제철, 정유, 비료공장 등을 건설할 공업용지 650만평의 조성과 이 공업지역에 공급할 1일 12만톤의 공업용수 개발 및 2만톤급 선박이 접안할 수 있는 안벽(岸壁)의 건설 등이 주된 사업이었다.
 
이같은 울산개발계획에 대한 기술평가를 담당했던 미국의 데이 앤드 지머맨사(社)는 울산공업지구의 건설은 현재 산재되어 있는 인력과 자연자원을 집결시킬 것이며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고용기회를 개선하여 지역경제를 향상시킴은 물론 외화절약을 가능케 할 것이라고 그 의의를 집약하였다.
 
울산은 개발과정에서 각 기업이 용지를 필요이상으로 확보하려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공장 예정지 요강’을 만들어 기업에 의한 지나친 용지점유를 억제하도록 했다. 그러나 공업입지의 원단위(原單位)가 무엇인지도 몰랐던 당시로서는 소요면적의 과학적인 산출이란 모호하기 짝이 없었다.
 
개발 초기에는 보상비의 절감을 위해 1962년에 ‘공업입지 조성을 위한 토지수용 특례법’을 제정하여 실시한 바 있었지만 피보상자들의 강력한 반발은 물론, 입법취지 자체가 비민주적이었기 때문에 바로 1년 후인 1963년에 폐지되고 말았다. 이 법을 적용하여 용지가 매수된 곳은 부산∼울산간 국도분기점에서 공업단지에 이르는 공단진입 도로구간 한 군데 밖에 없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